건폐율 뜻 계산 방법 공식, 높으면 좋은 거야?
부동산 경매 임장을 다니다 보면"어떤 집은 마당이 넓고, 어떤 건물은 땅 전체가 꽉 차 있네?"라고 생각해 본 적 있으실 건데요. 그 차이를 만드는 중요한 부동산 용어가 바로 건폐율입니다. 오늘은 건폐율 뜻, 계산 방법 공식, 그리고 건폐율 높으면 좋은 건지 나쁜 건지 실제 부동산 물건 분석을 함께 해보면서 알아보겠습니다.
포베이 구조 5분 만에 알아보기 (+ 2024년 전국 아파트 분양일정)
아파트 분양이나 청약을 알아보실 때 '포베이 구조'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건설사에서 홍보를 많이 합니다. 또한 일명 부동산을 좀 안다는 지인들에게 '포베이 구조가 좋다'라는 말들도 흔히
auctionmaster.tistory.com
스트레스 DSR 뜻 시행일 계산 방법 적용대출 5분 만에 알아보기
스트레스 DSR 뜻 시행일 계산 방법 적용대출 5분 만에 알아보기스트레스 DSR 뜻 시행일 계산 방법 적용대출 5분 만에 빨리 알아보자 스트레스 DSR 뜻'스트레스 DSR' 은 대출자의 부채 상환 능력을 평
auctionmaster.tistory.com
아마 오늘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신다면 무조건 건폐율에 대해 이해하실 수 있을 거라고 자부합니다! 👍
01. 건폐율 뜻
건폐율은 대지 면적에 대해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 건물이 땅 위를 얼마나 "덮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500㎡ 대지에 250㎡ 면적의 건물이 세워져 있다면, 건물이 땅의 절반을 덮고 있으니 '건폐율은 50%'라고 할 수입니다.
건폐율 뜻, 색종이로 설명 드려보면요. 큰 직사각형 색종이를 깔고 그 위에 건물을 올린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때 색종이의 몇 %를 건물이 덮고 있는지가 바로 건폐율입니다. 건폐율이 높으면 건물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색종이 면적, 즉 대지면적이 적을 것이고요.
반대로 건폐율이 낮으면 건물이 작기 때문에 색종이면적이 넓을 것입니다.
건폐율은 건물을 짓는 사람이 마음대로 정하는 건 아니고요. 도시관리계획에 따라 용도지역별로 최대한도가 규정되어 있고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해져 있습니다.
✅ 대한민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77조에 따른 건폐율 상한선
용도지역 | 상한선(백분율) | |
도시지역 | 주거지역 | 70% |
상업지역 | 90% | |
공업지역 | 70% | |
녹지지역 | 20% | |
관리지역 | 보전관리지역 | 20% |
생산관리지역 | 20% | |
계획관리지역 | 40% | |
농림지역 | 농림지역 | 20% |
자연환경보전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 | 20% |
위 표를 보시면 도시지역에서 상업지역이 90%로 건폐율이 가장 높은 것도 환경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지역들은 20%로 매우 낮게 상한선이 적용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건폐율 상한선이 정해져 있는 이유는 지역마다 이렇게 건폐율 상한선을 정하여 자연을 보존하고 도시 환경을 생각해 무분별하게 건물이 짓지 못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니 토지나 건물을 경매로 낙찰받으실 때 본인이 하려는 목표가 건폐율이 방해가 되는지 안되는지 꼭 분석을 하시고 입찰을 하셔야 합니다.
02. 건폐율 계산 방법 공식
📢 건폐율 계산 방법 공식
건폐율 = ( 건축면적 / 대지면적 ) × 100 (%)
건폐율은 전체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건축 용어이며 단위는 백분율(%)로 표시합니다. 건축면적은 건물 1층의 바닥면적을 의미하고요. 대지면적은 말 그래도 땅 전체의 면적을 말합니다.
'토지와 건물을 하늘 정면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건물이 대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라고 이해하시면 쉬운 대요. 일반적으로 건축 밀도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아래 좀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건폐율이 높으면 그만큼 건축이 대지에 차지하는 면적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답답하고 좁습니다.
반대로 건폐율이 낮으면 대지가 비율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여유롭고 덜 답답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낮은 게 무조건 좋은 건 아니지만요.
03. 건폐율 용적률 차이
많은 사람들이 건폐율과 용적률 차이를 헷살려 하는데요. 저도 사실 처음 부동산을 공부할 시기엔 늘 헷갈렸던 경험이 있습니다.
- 건폐율: 건물이 대지 면적 위에서 차지하는 바닥 면적 비율
- 용적률: 건물 전체 층의 바닥 면적 합계와 대지 면적의 비율
비교 예를 들어보면 건물이 2층이고 각 층이 100㎡*인 경우 건폐율은 건물이 땅에 닿는 면적이 100㎡라면, 400㎡ 대지에 100㎡를 덮고 있으므로 25% 용적률 두 층을 합하면 200㎡가 되므로, 50%입니다.
04. 건폐율 높으면? 낮으면?
건폐율이 높으면 그만큼 건물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더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상가나 공장 같은 경우에는 건물 내부가 넓으면 임대를 더 주든 시설을 더 설치하는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겠죠? 그만큼 공간 활용을 더 많이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상업용 건물은 건폐율 높은데 좋다!
반대로 건폐율이 낮으면 건물 간 간격이 넓어져 일조권과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를 예를 들면요. 건폐율이 낮으니 아파트의 빈 공간에 예쁜 조경이나 편의시설 등으로 채우기 때문에 그만큼 쾌적한 환경에서 살 수 있을 테고요. 동간 간격이 멀어 앞 동 때문에 햇빛을 덜 받을 가능성이 적어지고 덜 답답하겠죠?
그래서 아파트는 건폐율이 낮은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인기가 많고 사람들이 선호합니다! 건폐율이 높아서 건물이 빽빽하게 붙어 있으면 생각만 해도 답답하겠죠?
아파트는 건폐율 낮은게 좋다!
요점만 다시 정리해 보면요!
- 낮은 건폐율: 넓은 마당이나 야외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주거용 주택, 아파트에 적합
- 높은 건폐율: 건물 면적이 대지의 대부분을 차지해 상업용 건물에 적합
05. 실제 신규 분양 아파트 건폐율 확인하는 방법 (호갱노노)
저느 신규 아파트 물건을 확인할 때 '호갱노노' 웹사이트를 잘 이용하는데요. 사실 호갱노노는 부동산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스마트폰에 무조건 깔려 있는 앱이기도 합니다. 혹시 아직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 첨부해 드릴테닌 다운로드 받으셔서 보시면 부동산 물건 보시는데 매우 유용하실거에요.
호갱노노 ▶ 바로가기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신규분양 물건인 래미안원페를라 아파트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요즘 같은 부동산 불황에서도 검색량이 어마어마한 아파트 인데요. 호갱노노에서 건폐율을 보는 방법은 1️⃣ 왼쪽 상단에 보고자 하는 아파트 이름을 검색합니다.
왼쪽 카테고리를 보면 세대수, 용적률과 함께 2️⃣ 건폐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배동 래미안원페를라 건폐율은 24%네요. 쉽죠?
혹시 건폐율이 보이지 않는다면 번거럽지만 해당 신규 분양 아파트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 확인해야 합니다.
06. 건폐율이 중요한 이유
건폐율이 중요한 이유를 건축물에 따라 다시 설명드려보면요. 단독주택의 경우 건폐율이 낮아야 마당이나 주차장 공간을 넉넉하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역시 건폐율이 낮아야 조망권, 일조권을 더 확보할 수 있고 정원 같은 예쁜 조경이 많은 환경에서 살 수 있기 때문에 부동산 매매 시 꼭 건폐율을 확인해야 합니다.
상업용 건물을 구입하시거나 경매 입찰을 할 때도 건폐율을 잘 보여야 합니다. 높은 건폐율로 공간 활용도를 높여야 수익성이 좋아지고 최악의 경우 건폐율 때문에 원하는 건축물을 못 만들 수도 있습니다.
Conclusion
건폐율 뜻 계산 방법 공식, 높으면 좋은 거야?라는 주제로 이야기해 보았는데요. 건폐율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부동산을 구매하거나 경매를 하실 때, 신규 분양아파트를 분석하실 때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부동산 공부하기 > 부동산 기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물가지수 뜻 계산 방법, 중학생도 쉽게 이해하는 경제 기초 용어 (0) | 2025.01.17 |
---|---|
2025년 부동산 정책 무엇이 달라질까? (1) | 2024.12.26 |
전세집 수리, 누구의 책임일까? 집주인 vs 세입자 (1) | 2024.12.13 |
포베이 구조 5분 만에 알아보기 (+ 2024년 전국 아파트 분양일정) (0)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