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말정산 쉽게 이해하기

연말정산 주요 용어정리 : 총급여액 근로소득금액 연간근로소득 뜻 차이

by 부동산경매마스터 2024. 11. 27.
연말정산 주요 용어정리
총급여액 근로소득금액 연간근로소득  뜻 차이

 
 
 
안녕하세요! 부동산경매마스터입니다~! 😉
 
연말정산 주요 용어로 총급여액 근로소득금액 연간근로소득  뜻 차이 정리해보았어요. 연말정산을 하는 데 있어 가장 출발점에 있는 용어들이면서 가장 헷갈려하는 용어들로 소문난 녀석들인데요. 5분만 집중해서 오늘 꼭 이해하고 넘어가 보자고요!

 

 



🔻연말정산 쉽게 이해하기 시리즈🔻

 

📢 2025년 연말정산 1편 : 배우자 인적공제 소득 기준 연봉 500만원 vs 100만원 정답은?

📢 2025년 연말정산 2편 : 부양가족 인적공제 나이 요건

📢 2025년 연말정산 3편 : 부모님 인적공제 조건

📢 2025년 연말정산 4편 :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비율 공제율 한도

📢 2025년 연말정산 5편 :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필독!

📢 노동조합 회비, 연말정산 세액공제 절세 방법

📢연말정산 쉽게 이해하기 : 총급여액 근로소득금액 연간근로소득 뜻 차이

📢연말정산 쉽게 이해하기 : 직계존속 vs 직계비속 차이

📢연말정산 쉽게 이해하기 :연말정산 총급여액 뜻 예를 들면?

 

 


 

연말정산 총급여액 vs 근로소득금액 vs 연간근로소득  차이


 

연말정산 순서도

 
 
 
위 그림을 보시면요. 빨간색 box가 오늘 배울 내용인데요.
 
왼쪽 상단 출발지점에 '연간근로소득'이라고 쓰여 있죠? 연말정산의 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연간근로소득은 '세전 연봉'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이때 '비과세 소득'이라는 걸  빼면 '총급여액'이 됩니다.
 
'배우자 인적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 총급여액이 500만 원 이하면 인적공제 받을 수 있다! '라고 연말정산에서 많이 나오잖아요!
 
📌 연말정산 소득공제 1편 : 배우자 인적공제 소득 기준 연봉 500만원 vs 100만 원 정답은?
 
그 다음 순서로 총급여액에서 다시 '근로소득공제'이라는걸 빼기합니다. 그러면 그이름도 유명한 '근로소득금액' 이 계산됩니다. 
 
다시 정리해 보면요

연간근로소득 - 비과세소득 = 총급여액
총급여액 - 근로소득공제 = 근로소득금액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이제 연간근로소득, 총급여액, 근로소득금액 각각의 용어 뜻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연간근로소득이란? 뜻


 
먼저, 연간근로소득에 대해 이야기해 볼게요.
 
연말정산의 출발점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연간근로소득이란 말 그대로 근로자가 1년 동안 회사에서 일하고 받은 총 급여를 의미합니다.
 
출발점이기에 모든 비과세소득, 세금 할거 없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쉽게 말해, 여러분의 연봉이라고 할 수 있죠. 우리가 연봉에 대해 말할 때 세전을 이야기 하잖아요. 그쵸?
 
 
예를 들어, A 씨가 2024년 동안 회사에서 일하며 받은 세전 급여가 5,000만 원이라면, A 씨의 연간근로소득은 5,000만 원이 되는 거예요.
 

연간근로소득은  연말정산의 출발점이다!

 
 
 
 
 
 

총급여액이란? 뜻


 다음은 총급여액! 입니다! 총급여액은 위에서 말씀드린 연간소득금액 바로 밑입니다. 
 
연간소득금액에서 비과세소득만 빼면 바로 총급여액이죠!
 
그렇다면 비과세소득은 뭐가 있을까요?
 

📌 비과세소득
자기차량운전보조금, 실비변상적급여, 국외근로소득, 생산직근로자 연장수당, 비과세식대, 출산보육수당, 비과세학자금, 그 밖의 비과세소득

 
많네요^^;; 하지만 굳이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의 경우 이런게  있구나 정도만 아셔도 됩니다!
 

총급여액은 연간근로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제외한 금액이다!

 
 
완벽한 학습을 위해 다시 반복해 보겠습니다!
 
비과세소득은 위에서 알려드린 데로 식대, 보육수당, 연장수당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씨가 5,000만 원의 연간근로소득을 받았습니다!
 
그중 비과세소득이 500만 원이라면?
 
A 씨의 총급여액은 4,500만 원이 되는 거예요.
 
이 총급여액은 나중에 소득공제나 세액공제를 적용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어마어마하게 많이 나오는 단어가 총급여액! 이라고 볼 수 있죠! 
 
 
 

근로소득금액이란? 뜻


 이제 마지막입니다! 힘내시고요👏

연말정산 가장 출발점이
연간근로소득!

여기에 비과세소득을 빼면?
총급여액

여기에 근로소득공제 금액을 빼면?
근로소득금액입니다!

 
근로소득금액을 알아볼게요.
 
근로소득금액은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금액을 뺀 값이에요.
 
근로소득공제, 근로소득금액 단어가 비슷비슷해서 헷갈리시죠? 색칠해 보겠습니다! ^^
 

  • 근로소득공제
  • 근로소득금액


근로소득공제는 뭘까요? 일종의 세제 혜택입니다.

공제! 해준다!

돈을 깎아준다~!

요런 뉘앙스로 볼 수 있는데요. 

세금 부담을 경감하고 조세의 형평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연말정산이라는 게 무조건 여러 가지 공제를 통해서 money를 깎아야 합니다.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라는 시스템을 통해 money를 깍는 효과죠. 만약 근로소득공제 방식이 없다면 총급여액이랑 근로소득금액이 같았겠죠?
 
아무튼...
 
그렇다면 근로소득공제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공식이 있습니다. 산수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 : 국세청

 
 
문제! 총급여 3,380만 원인 경우 근로소득공제금액과 근로소득금액은?
 

  • 총 급여액 : 3,380원
  • 근로소득금액 = 총급여액 - 근로소득공제금액

총급여액 3,380원은 [1,500만 원 초과 4,500만 원 이하] 구간에 해당되죠?
 
그렇다면 750만 원 + (총급여액 - 1,500만 원) x 15% 공식을 대입하면 됩니다.
 
계산해 보죠 ㅎㅎ
 
750만 원 + (3,380원 - 1,500만 원) x 15% = 근로소득공제금액
 
1,032만 원 = 근로소득공제금액
 
근로소득공제금액을 구했습니다!
 
 

근로소득금액 = 총급여액 - 근로소득공제

 
 
다시 정리해 보겠습니다!  계속 반복하는 게 최고이죠!
 
연간근로소득은 비과세소득을 포함한 소득으로 흔히 말하는 세전 연봉이다. 연말정산 순서의 가장 첫 번째다.
 
 
총급여액은 연간근로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뺀 금액이다
 
 
근로소득금액은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금액을 뺸 급액이다
 

  • 연간근로소득: 세전 연봉, 비과세소득 포함
  • 총급여액: 연간근로소득 - 비과세소득
  • 근로소득금액: 총급여액 - 근로소득공제금액

 
 

Conclusion..

연말정산 주요 용어정리 :  총급여액 근로소득금액 연간근로소득  뜻 차이 알아보았는데요. 다가오는 연말정산 준비 잘하셔서 13월의 월급 받으시길 바랍니다!!